1300년 전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금동제 유물...당시 화려한 금속공예의 진수보여
상태바
1300년 전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금동제 유물...당시 화려한 금속공예의 진수보여
  • 윤효중 기자
  • 승인 2020.10.22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폐 황용사지,통일신라 때 창건...조선시대까지 번창 추정
금동사자상 등 20여 점 출토
통일신라시대 금속공예술의 극치를 보여주는 금동제 유물 / 불교문화재연구소
통일신라시대 금속공예술의 극치를 보여주는 금동제 유물 / 불교문화재연구소

경주 황용사지에서 통일시대 금제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돼 학계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스님)는 22일 현지에서 황용사지에 대한 조사성과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

출토된 유물은 '투조 금동귀면' 2점,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 금동불상 대의편, '금동사자상', 금동연봉, 금동촉대 받침 등 금동제 유물 20여 점이다.

'금동보당 당간'과 '기단부'는 지금까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적이 없다. 이번 황용사지에서 처음 확인되었는데,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가장 큰 보당이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시대 보당과 비교하면 리움미술관 소장품이 73.8㎝인것에 비해 황용사 출토 금동보당은 잔존해 있는 당간부와 지주부만 110㎝로 대형이며, 시기도 황용사 당간이 앞선다.

금동불상 대의편은 직경 30㎝가 넘으며 전체 비례로 볼 때 약 1m 이상의 대형 금동불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사자상은 2점의 크기는 약 17㎝정도이고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 용장사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불교문화재연구소
금동사자상 크기는 약 17㎝정도이고 앞, 뒷다리를 쭉 뻗어 무엇인가를 받치는 형상을 하고 있다. 분황사, 용장사 출토품과 유사하며 주로 촉대나 광명대를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불교문화재연구소

이외에도 금동연봉, 금동촉대받침 등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확인되어서 창건 당시 황용사의 격이 경주지역 내 주요 사찰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았던 것을 보여준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2013년부터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비지정)폐사지를 대상으로 ‘중요 폐사지 발굴조사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다. 이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경주 황용사지에 대한 시굴조사를 시작하여 올해까지 매년 추정사역 및 중심사역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왔다.

경주 황용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결과, 황용사는 계곡을 따라 다단의 석축 대지를 축조한 후 상면에 건물들을 조성했던 산지형 가람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조선시대까지 계속해서 번창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중심사역에는 쌍탑과 금당지를 비롯한 회랑과 축대, 석렬, 배수로, 소성유구 등 다양한 유구들이 중복되어 확인되고 있으며, 투조 금동귀면을 비롯한 다양한 금동제 유물과 석불, 소조불, 용두편, 쌍조문 암막새 등 희귀한 유물이 출토되어 황용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경주 황용사지는 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과 건축기술이 집약된 유적으로 확인되며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고고학적 쾌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황용사지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경주지역 대표 불교문화유적이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