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의 꿈은 '숨쉬는 땅'...그런데 '숨구멍'은 없어
상태바
울진군의 꿈은 '숨쉬는 땅'...그런데 '숨구멍'은 없어
  • 손호영 기자
  • 승인 2021.06.13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찬걸 울진군 '활력있는 경제울진' 주창...도시계획 40년 째 그대로
군민사회 "울진군 '적극행정'없는 무사안일주의만 팽배해" 맹비난
죽변항 일대 수요없는 '공업지역'...폐공장 등 도시미관 크게 헤쳐
김창오 의원 "죽변항 미래위해서 용도지역 현실적으로 재정비해야"
/손호영 기자
경북 동북단에 위치한 '죽변항'은 500여년의 오랜역사를 간직한 '자연항구'이자 지정학적 요충지다. 특히 '낙동정맥'이 만든 동해안 '천혜의 항구'이지만 관계기관의 '탁상행정'으로 개발되지 않는 등 수십년째 정체되고 있다는 비난의 여론도 높다./손호영 기자

전찬걸 울진군수 취임이후 늘 강조한 것은 '활력있는 경제울진'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유명무실(有名無實)하는 등 '헛구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울진군의 도시계획 행정이다. 군은  수십년 전에 계획된 도시계획을 현실성에 맞춰 재정비해야 함에도 현재까지 방치하는 등  빈축을 사고 있다.

울진군은 지난 1977년4월28일  죽변리 10번지와 20번지 일대를 일반공업지역(70%)와 준공업지역(30%) 당시 도시계획법에 따라 '결정고시'했다.

이 결정고시는  40여년의 세월이 지나도록 현재까지 적용되는 등  군관리계획을 단 한 차례도 '재정비'하지 않는 등 무사안일(無事安逸) 행정을 펴고 있다.

이로인해 이 일대는 당시  군관리계획에 지정된 '용도지역'의 규제에 묶여 죽변항 동쪽편 주변 지역은 개발이 전혀 되지않고 지금은 폐허가 된 상태고 도시미관을 크게 헤치고 있다.

/손호영 기자
/손호영 기자

죽변면 10번지 일대. 이 곳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6조 제1항과 같은법 시행령 제71조 제1항 용도지역이 '공업지역'이다.

때문에 이 일대는 건축법 등에 따라 '위락시설', '숙박시설', '공동주택 '등을 설치할 수 없고, 준공업지역에는 '위락시설'도 조성하지 못한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민간투자조차 이루어 질 수 없는 등 지역경제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역부동산 업계 관계자 A씨는 "외지 투자자 유치를   활발히 하기위해서도 이 일대에 대한 도시계획 재정비를 시급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민단체 관계자는 "울진군은 말로만 경제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그런데 실제 행위는 전혀 그렇지 않고 탁상행정만 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이같은 울진군의 안일한 도시계획 행정이 도마에 올랐다. 

울진군의회 김창오 의원이 최근 울진군의회 제248회 제1차 정례회에서 '죽변항을 연계한 발전방안'을  제언하는 등 '적극적 행정'을 주문했다.(사진)

/울진군의회
김창오 의원이 최근 울진군의회 정례회 석상에서 "죽변은 동해안의 거점 항구이자 울진의 미래이며,후손들에게 삶의 터전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청사진을 설계하여 죽변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울진군의회

김 의원은  "울진군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죽변항 이용고도화사업', 수협어판장과 수산물유통센터, 죽변 등대공원을 아우르면서 죽변 해안(등대)에서 후정해수욕장까지 해안경관도로 3-7호선 개설 사업과 해상과 해안절벽을 동선으로 블루로드 감성을 살린 2.5km의 해안산책로 조성을 통해 관광벨트를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외부로부터 우리지역으로 접근할 수 있는 광역교통망 여건도 최근 36번 국도 직선화 사업으로 안동, 영주, 봉화 등 내륙에서 많은 관광객이 죽변항으로 몰리고 있으며, 향후 영덕에서 울진, 삼척까지 동해중부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 우리지역에 보다 더 많은 관광객들이 올 수 있는 좋은 여건이므로 지금부터 손님맞이 준비에 장기적 플랜을 수립해야 할 때이다"고 집행부를 질타했다.

특히 김 의원은  "현실과 미래설계에 맞지않은 현재 군 관리계획의 전면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울진군은 죽변면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죽변발전 공동 T/F팀을 구성해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관련 도시계획전문가 B씨는  "실효성이 없는 용도지역은 실정에 맞게 재정비해야 만이 토지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고 지역경제도 활성화될 수 있다" 고 말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