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포스코는 ‘최정우 퇴출’과 인적쇄신이 시급하다
상태바
[특별기고] 포스코는 ‘최정우 퇴출’과 인적쇄신이 시급하다
  • 和白新聞(화백신문)
  • 승인 2022.08.26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정우 포스코 직원 임금 3년 동안 2% 인상...崔,상반기 보수 18억8440만원 지난 해보다 2배 올라
박태준 포스코,자신 포함 임원들 '자사주' 받지 않아...10% 자사주 직원에게 배정
崔 , 문재인 정부 성향으로 '기업시민 -더불어 포스코' 내세워
임원들 ‘미공개 내부정보 이용 자사주 매입’...수사 촉구 탄원서 현재 서울중앙지검 이첩돼
"국민기업 포스코 실추된 명예와 자긍심 회복해야"
임종백 범시민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
임종백 포스코 지주사 본사ㆍ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

2022년 4월 6일,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왜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다”고 주장했을까?

그는 올해 상반기 보수로 18억8,400만원을 받아 대기업 오너인 최태원 SK 회장보다 더 많은 돈을 챙겨갔다고 한다. 직원들의 임금 인상은 3년 내내 2%에 그쳤는데, 최정우의 보수는 작년보다 2배 가까이 올랐고, 전중선, 김학동, 정탁 등 경영진도 역시 ‘돈 잔치’를 즐겼다고 한다.

그러니까 그들의 국민기업 아니라는 주장은 “우리 보수에 대해 바깥에서 입대지 말라”는 뜻이기도 했다.

박태준 회장은 1988년 1차로 포스코 주식을 '국민주(國民株)'로 공개하여 ‘국민기업 포스코’의 기반을 만든 당시에 자신을 포함해 임원들은 한 주(株)도 받지 말고 “고생 많았던 직원들에게 자사주 20%를 선물하자”고 했다. 정부의 반대로 10%밖에 못했지만, 그때 신입사원 땟물을 벗고 포항에서 근무하고 있던 최정우도 거기에 감사한 마음을 느꼈을 것이다.

박태준 회장의 철학과 신념은 확고했다. “대일청구권자금이 포스코의 '종자돈'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포스코 경영진에게 요구되는 고도의 윤리의식의 원천”이라 규정했고, 포스코는 민영화된 다음에도 “다음 세기의 번영과 다음 세대의 행복을 추구하는 국민기업의 지평을 열어가야 한다”는 비전을 명백히 제시했다.

2018년 4월 1일 포스코 창립 50주년을 맞아 ‘넥스트 50년’을 내놓았던 권오준 회장은 문재인 정권에서 오래 못 버틸 거라는 소문이 돌더니 겨우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사의(辭意)를 표명했다.

2018년 여름에 등장한 최정우는 박태준 회장의 ‘국민기업(國民企業)’과 ‘제철보국(製鐵報國)을 버리고 ‘기업시민’과 ‘더불어 포스코’를 내세웠다. 그러나 산재사고 폭증과 분기 적자까지 기록했다.

급기야 2020년 봄날에는 바닥을 헤매는 포스코 주가를 방어한다는 명분으로 이사회의 ‘자사주 1조원 매입 결정’ 두 주일을 앞둔 시점에서 자신을 포함한 임원들끼리만 ‘미공개 내부정보 이용 자사주 매입’을 감행했고, 이 혐의에 대해 2021년 8월 서울중앙지검에서 압수수색을 집행했다.

포항시민은 41만명 연대서명으로 문재인 정권 말기에 덮여 있던 그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탄원서를 대통령실에 접수했으며, 현재 서울중앙지검에 이첩된 상태이다.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에는 포스코의 영업실적이 좋았다. 하지만 현장 직원들은 “최 회장이 손 안 대고 코 풀었다”고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전제품 수요 폭증을 불러온 것과 중국의 봉쇄정책 덕분에 한국 철강업체들이 톡톡한 재미를 챙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정우는 윤석열 대통령이 ‘경제비상’을 언급한 직후에 ‘비상경영’을 선언하고는 직원들의 임금 인상은 2%로 억제하고 자신과 임원들만 ‘돈 잔치’를 벌였다.

윤석열 정부는 원자재 가격 폭등과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에게 ‘예대 장사’ 수익률을 낮추라고 압박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이 있다. 반도체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시대에도 철강은 변함없이 ‘오래된 산업의 쌀’로서 국기기간산업이며 철강연관산업의 기초소재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국민경제가 어려운 시기일수록 포스코 최고경영자에게는 ‘국민기업의 윤리의식’이 요구되는 것이다. 최정우처럼 최대수익 지상주의를 통해 최고 성과금 ‘돈잔치’를 벌이는 경영 방침은 포스코에도 국민경제에도 해악을 끼칠 따름이다.

박태준 회장의 ‘국민기업’ ‘제철보국’ 경영철학이 어떤 업적을 남겼는가? 1987년 9월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의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증명해준다.

만일 국내 수요가들이 포항제철 제품을 구입하는 대신 전량 수입했을 경우의 수입액에 대한 비용절감액을 보면 1979년에는 25.6%, 1982년에는 42.0%, 그리고 1985년에는 33.9%이어서 무려 예상 지출액의 3분의 1이나 됨을 알 수 있다.

즉, 이 기간 중 국내 철강수요가들은 포항제철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약 3분의 1을 절약한 셈이 된다. 포항제철이 그 설립 이래 우리나라 철강 관련 산업의 생산원가를 크게 낮춤으로써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공헌한 바가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다.

박태준 회장 시절에 포스코는 그렇게 국민경제에 기여하면서도 세계 최고 기업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물론 현재 포스코에게 박태준 회장 그대로 경영하라고 요구해서는 안 되지만, 무엇보다 포스코가 결정한 이른바 ‘적정한 철강가격’이 포스코 최고경영자와 임원들의 최고 성과금에 직결되는 ‘반국민기업적, 반국민경제적’ 경영 방침은 근절돼야 하고, 그럼으로써 자랑스러운 국민기업 포스코의 실추된 명예와 자긍심을 회복해야 한다.

이러한 변혁은 최고경영자가 바뀌어야만 실행될 수 있다. 인적쇄신 없이 윤리의식은 살아날 수 없다. “최정우 회장은 권오준 회장이 그랬던 것처럼 조만간 교체될 상황을 대비해 성과금을 너무 많이 챙긴 것 아닌냐”라는 포스코 직원들의 성토를 누가 귀담아 들어야 하겠는가?

그리하여 오늘 우리 범대위는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

최정우는 즉각 퇴진하라! 이것이 국민기업 명예를 회복한 포스코가 국민경제에 바르게 기여하는 길을 다시 열어젖힐 새로운 출발선이다.”


주요기사
이슈포토